티스토리 뷰
5년 만에 최대 5,000만 원!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부터 공식 신청 사이트까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을 빠르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에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대신 저축해주는 계좌, 안 챙기면 손해입니다! 정부기여금 월 최대 33,000원 지원, 이자소득까지 전액 비과세!
70만 원을 5년씩 납입하면 최대 5,038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5년 만기 저축 상품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가 추가로 매달 돈을 넣어주는 제도입니다. 심지어 이자소득까지 전액 비과세라 실질 수익률도 높습니다.
- 가입 기간: 5년
- 납입 금액: 월 1천 원 ~ 70만 원 자유롭게 설정 가능
- 정부 지원: 최대 월 33,000원
- 혜택: 이자소득 비과세, 정부기여금 지급, 우대금리 가능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닌, 정부와 내가 만드는 목돈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신청 조건
항목 | 조건 |
연령 | 만 19세 ~ 34세 (병역이행 시 최대 6년 연장 가능) |
개인 소득 |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 중위소득 250% 이하 (아래 내용 참고) |
소득 유형 |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 |
기타 | 최근 3년간 금용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아님 |
📌 아르바이트나 프리랜서도 소득 신고가 되어 있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 가구 소득은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확인하며, 신청 시 가족 구성원의 소득 정보 제공 동의가 필요합니다.
✅ 중위소득 250% 이하
- 1인가구: 5,980,033원
- 2인가구: 9,831,645원
- 3인가구: 12,563,383원
- 4인가구: 15,244,433원
- 5인가구: 17,770,480원
- 6인가구: 20,162,013원
정부기여금
- 소득 구간과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에서 매달 지원해 주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 정부기여금은 최대 33,00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월 50만 원 납입 시 소득 구간이 낮다면 최대 23,600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연소득 | 월 50만 원 납입 | 월 60만 원 납입 | 월 70만 원 납입 |
2,400만 이하 | 23,600원 | 28,300원 | 33,000원 |
3,600만 이하 | 20,800원 | 25,000원 | 29,000원 |
4,800만 이하 | 17,400원 | 21,600원 | 25,200원 |
6,000만 이하 | 15,000원 | 18,000원 | 21,000원 |
❗연소득이 7,500만 원 이상이면 정부기여금은 지원되지 않지만, 비과세 혜택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비과세 혜택
보통 은행 예·적금은 이자가 붙으면 세금 15.4%를 떼갑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이자에 대한 세금이 0원이며, 이를 비과세라고 합니다. 즉, 같은 금액을 저축해도 더 많은 이자를 가져가는 구조이며, 정부기여금까지 더해지면 일반 적금보다 수익률이 급격히 높아집니다.
같은 납입금, 금리, 기간을 적용해도 세금을 제외하고 받는 수령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건 | 일반과세 적금 | 비과세 적금 |
월 납입금 | 50만 원 | 50만 원 |
금리 | 4.5% | 4.5% |
적립기간 | 5년 | 5년 |
세후 수령액 | 32,902,838원 | 33,431,250원 |
청년도약계좌 금리
- 기본금리
- 최초 3년: 가입 후 최초 3년간은 고정금리 적용됩니다.
- 이후 2년: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매 1년마다 금리가 변경됩니다.
- 우대금리: 은행별로 제공하는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하면 추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현재는 기본금리는 최대 4.5%, 우대금리는 최대 1.5%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대금리 조건은 급여이체, 카드 사용 실적, 마케팅 동의 등 다양한 조건이 있습니다. 각 은행별 기본금리와, 우대금리, 우대 조건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 가입 신청은 취급은행 앱을 통해 매월 비대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취급은행: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경남, 광주, 대구, 부산, 전북
📍 신청방법
-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상품 선택 > 신청
-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자격 심사 (약 2주)
- 계좌 개설 후 자동이체 설정 > 납입 시작
- 다음 달부터 정부기여금 자동 적립
자세한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어떻게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을까?
📌 기본 조건 가정
- 월 납입액: 70만 원 (최대 한도)
- 정부기여금: 월 33,000원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 적용 기간: 5년 (60개월)
- 연 이자율: 6%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1.5%)
항목 | 내용 | 금액 |
납입 원금 | 70만 원 x 60개월 | 4,200만 원 |
정부기여금 | 33,000원 x 60개월 | 198만 원 |
이자 | 연 6% | 약 640만 원 |
총수령액 | 납입 원금 + 정부기여금 + 이자 | 5,038만 원 |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해 최대로 모을 수 있는 금액이 5,000만 원인 셈입니다. 금액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정부기여금이 있다는 점과 비과세 혜택, 그리고 일반 예·적금 상품보다 금리가 높다는 점이 매우 큰 장점입니다.
유의사항 체크
- 중도 해지 시 정부기여금은 환수될 수 있습니다.
- 매달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해야 자격이 유지됩니다.
- 납입 유예는 최대 6회까지만 허용됩니다.
이왕 시작하셨다면 5년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소득이 없으면 신청이 안 되나요?
A. 네. 반드시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Q. 군 복무자는 나이 제한을 초과해도 가능한가요?
A. 맞습니다. 병역이행 기간만큼 연령이 연장되어 신청 가능합니다.
Q. 매달 얼마씩 넣어야 하나요?
A. 최소 1천 원~최대 70만 원까지 본인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Q. 신청 마감은 언제인가요?
A. 매년 상반기 정기 접수 외에도 추가 접수 시기가 열릴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 공지를 수시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저축이 아닙니다. 국가가 함께 도와주는 청년 맞춤형 자산 형성 제도입니다. 물가 상승, 전세대란, 취업난 등으로 자산 형성이 어려운 요즘 청년에게 꼭 필요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지금 바로 신청 자격을 확인하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계좌 개설을 시작해보세요! 5년 후 5,000만 원, 당신도 가능합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자동차보험 갱신 꿀팁 총정리! (0) | 2025.04.25 |
---|---|
2025 서울 평생교육이용권 신청 총정리 | 평생교육바우처 (0) | 2025.04.25 |
대학생 지원금 |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총정리 (0) | 2025.04.21 |
2025년 신생아 특례 대출 | 디딤돌대출 | 총정리 (0) | 2025.04.17 |
엘 포인트 사용처 | 현금화 바로가기 (0) | 2025.04.11 |